가상화폐 광풍 속 거래소 난립의 부작용을 짚어보는 YTN의 연속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가상화폐 투자자가 폭증하면서 올해 1, 2월 거래대금만 4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는 가상화폐나 거래소에 대해 명확한 규정을 하지 않고 있어서 관리나 규제 자체가 사실상 전무한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손효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몇 년 전 해킹으로 가상화폐가 유출돼 수백억 원에 달하는 피해를 본 한 중소 거래소. <br /> <br />한 달에 5만 원가량을 내면 법인 주소를 등록할 수 있는 공유 사무실을 본사로 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대표나 직원을 본 사람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[비상주사무실 관계자 A : 임대하려면 보증금도 내야 하는데 그게 안 되니까 이렇게 소액으로 사업장 낼 수 있는 곳으로 오신 거죠.] <br /> <br />[비상주사무실 관계자 B : (사무실) 거의 안 오세요. 1년에 한두 번 어쩌다 오시는 경우가 있고….] <br /> <br />대표 전화번호조차 없어서 메일로만 연락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많은 거래소가 메일이나 SNS로 상담받기 때문에 이용에 문제가 생겨도 바로 해결하기는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"고객상담센터는 이메일 또는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를 통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."] <br /> <br />이른바 국내 4개 대형 거래소의 투자자 수는 2백4십만 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올 1월과 2월의 거래금액은 440조 원으로, 이미 지난 한해 전체 거래금액 35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100여 개에 이르는 중소 거래소와 해외 거래소까지 합치면 거래량과 투자자 수는 훨씬 더 많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대부분 가상화폐와 현금을 중개하는 사업자로 등록돼 운영되는 상황. <br /> <br />금융회사가 아니어서 엄격한 재무 규제를 받지 않아도 되고, <br /> <br />[금융위 관계자 : (가상화폐가) 실제 가치와 연동돼서 있는, 실체가 없는 것이고…. 금융 상품이 아니고 화폐가 아니라는 입장을 견지해 (투자)를 유의하라고 안내하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전자상거래 업체가 아니어서 소비자 보호 법률을 적용받지도 않습니다. <br /> <br />[공정거래위원회 관계자 : 가상화폐는 소비생활에 사용되는 재화나 용역은 아니고 사실은 투자하기 위한 금융거래잖아요. 저희 전자상거래법 적용 대상은 아니라고 보고 있거든요.] <br /> <br />이런 문제 속에 지난 25일부터 가상화폐 거래소를 '가상자산 사업자'로 신고하도록 하는 특정금융정보법이 시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가상화폐를 불법 돈세탁에 이용되지 않도록 감시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33105393266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